경기도, 세외수입 체납자 17만명 법원 공탁금 전수조사. 체납액 277억원 징수
체납자 2,162명 적발, 자진 납부 259억, 강제 추심 18억 등 총 277억 원 징수
고태우 대표기자 | 입력 : 2021/01/11 [08:34]
많게는 수천만 원까지 법원 공탁금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과태료, 과징금, 부담금, 이행강제금 등 세외수입을 내지 않은 체납자들이 경기도 조사에 대거 적발됐다. 1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한 해 동안 세외수입을 50만원 이상 체납한 17만여 명을 전수 조사하고 이 가운데 2,162명이 보유한 629억여 원 규모의 법원 공탁금을 압류 조치했다. 법원 공탁금 압류는 행방이 묘연하거나 서류상 재산이 드러나지 않은 체납자를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징수 방법이다. 도는 이번 압류를 통해 자진납부 259억 원, 강제 추심 18억 원 등 총 277억 원의 체납액을 징수했다. 주요 사례를 보면 수원시 소재 A법인은 2019년 옥외광고물법 위반으로 부과받은 과태료 1억8,000만 원을 내지 않고 있다가 이번 조사에서 공탁금 4,700만 원이 적발돼 전액 압류 후 강제 추심됐다. 이천시 소재 B법인은 건설 산업과 관련한 과태료 900만 원을 내지 않고 있다가 이번 조사에서 공탁금 1,100만 원이 확인돼 압류 조치 후 강제 추심으로 체납액 전액을 납부했다. 고양시에 살고 있는 C씨는 2013년 부동산실명법 위반으로 과징금 230만 원을 부과 받았음에도 내지 않고 미국으로 이민 갔다가 이번 조사에서 공탁금이 적발돼 체납액 전액을 추징당했다. 도는 체납자와 제3자 간 소송 등으로 현재 강제 추심이 불가한 공탁금에 대해서는 관련 법령에 따라 강제 대위권(제3자가 다른 사람의 법률적 지위를 대신해 그가 가진 권리를 얻거나 행사할 수 있는 권리) 등을 적용해 순차적으로 모든 체납액을 징수할 계획이다. 최원삼 경기도 조세정의과장은 “이번 조사에서 적발된 체납자들은 계속된 납부 독촉에도 돈이 없어 납부하지 못한다던 사람이 대부분”이라며 “빈틈없는 체납자 관리로 도내 성실 납세풍토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신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기도, 체납자 관련기사목록
- 경기도, 올해 지방세 체납 전체 56% 정리 목표
- 경기도, 개인 연구자에 연구비 지원. 1명 당 연간 5,160만원씩 3년간
- 판교에서 꽃피우는 자율주행 실증, 경기도가 적극 지원한다
- 경기도, 규제합리화 우수부서 선정. 도시재생 뉴딜사업 행정절차 간소화 ‘최우수’
- 경기도, 가스안전 취약계층 8,200세대에 가스안전장치 ‘타이머 콕’ 등 무료 설치
- ‘산단 대개조 사업’ 선정 사활 건 경기도, 지역 국회의원·지자체장과 지혜 모아
- 경기도, 의료급여사업 ‘우수’기관 선정. 의료급여 사례관리로 245억 절감
- 경기도-도 자원봉사센터, 조류충돌 방지 위한 ‘경기도 새로(路)고침 모니터링단’ 모집
- 시흥시 (사)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 시흥시지회 온라인 정기총회 개최
- 경기도, 올해 취약노동자 조직화 ‘본궤도’‥자조모임 결성·성장에 방점 찍는다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새학기 식중독 발생 주의 당부
- 경기도워라밸링크 내 ‘아동돌봄지도’ 기능 개선을 통한 새로운 ‘아동돌봄플랫폼’ 서비스 시작
- 경기도, 4월까지 가맹본부 ‘정보공개서 정기변경 등록’ 당부. 3월 중 설명회 개최
- 고양시 – 경기도일자리재단, 4차 산업혁명 청년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 경기도, 올해 분말 유용미생물 ‘잘큼이 유산균’ 70톤 공급해 조류인플루엔자 예방
- 경기도, 해빙기 대비 노후 건축물옹벽 등 안전점검 실시
- 경기도, 항일유적지 널리 알리고 친일잔재 청산은 지속 추진
- 국내·외 전문가들이 말하는 경기도 기본주택의 성공방안은?
- 이재명표 경제방역 핵심정책 ‘경기지역화폐’ 올해 2조8,137억 원 확대 발행
- 경기도 특사경, 사회복지 보조금 비리 척결에 올인한다!
- 광주시, 1천만원 이상 고액·상습체납자 명단 공개
- 성남시 비양심 고액 체납자 출국금지 추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