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태우의 신한일설》삼일절, 화사한 봄 기운을 만끽할 자 누가 있을까?
□ "삼일절 기념식은 형식적이고 보여주기식 행사로 족해야할 듯하다."
□ 신한뉴스 / 삶을 보는 언론
대한민국의 새봄이 왔건만, "대한독립 만세!"라고 기운 차게 외칠 수 없을 것 같은 나라의 현실을, '1919년 기미년 3월 1일 독립을 외쳤던 수많은 애국지사들과 국민들은' 하늘에서 어떤 심정으로 지켜볼까?
제106주년 3.1절 기념식이 전국의 곳곳에서 엄숙히 거행됐고, 정치단체들을 비롯한 공공기관 그리고 시민사회 단체 등도 직접 참석했다.
이들은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렸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을 것이다.
애국지사들의 독립선언서와 어록을 낭독과 경청하면서 숭고한 희생에 감사의 예를 다 했고, 현재의 자유와 번영이 그들의 희생이 거름이 되었다는 것을 되새겼을 것이다.
삼일절 기념식장에 참여하고 사진을 남겼다고 해서, 애국심이 자연스럽게 심어지는 것은 아닐 것이다.
정치인들을 비롯한 모든 참석자들이 삼일절 기념식의 깊은 의미와 뜻을 매년마다 반복적으로 새기고 새겼지만, 대한민국의 현재는 애국심으로 똘똘 뭉쳤다고 확언할수 없다는 점이 가슴 아프게 한다.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면서, 목숨걸고 애국지사들과 국민들이 외쳤던 "대한독립만세! 대한독립만세!"를 진정으로 듣고 싶다.
꽃의 축제가 대한민국 전역에서 펼쳐지는 3월의 봄을 맞이하고 있지만, 정치가 국민의 일상을 장악하면서 '꽃을 보고 웃고 행복해야할 국민들의 마음'을 우울하게 한다.
국민사회는 보수와 진보로 나뉘고 극우와 극좌가 맞대기하는 현재의 삼일절, 애국가를 부르고 태극기를 흔들고 있지만 속내는 판이하게 다른 이론과 행동을 그대로 들어내고 있다는 점이 상당히 우려스럽다고 하겠다.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 며 역사의식을 중요시해 왔지만, 역사의 긍정적인 부분은 사라지고 부정적인 부분만 현재와 미래의 자산으로 남아있는 듯한 대한민국의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지배층, 상류층, 집권층, 고위층, 특권층, 지도층, 배운층, 지식층, 지도자층, 권력층의 역사의식과 사회적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되지만 그들의 사고와 행동력에 의문을 가질수 밖에 없을 만큼 그들은 강한 물줄기를 형성하고 있기에, 잔잔한 샛강이 아무리 정화하려고 해도 정화될수 없는 것이 대한민국의 현실이라고 표현하면 지나친 것일까?
대한민국 사회의 구성층의 다각화, 다변화, 다양화가 이루어지지 않고서는 "대한독립 만세!, 대한독립 만세!"의 외침에 대한 기념식은 사진촬영을 위한 형식적이고 보여주기식 행사로 족해야할 듯하다.
□ 신한뉴스 고태우 대표기자
□ 신한뉴스
□ 신한뉴스 / 삶을 보는 언론
<저작권자 ⓒ 신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목록
|
인기기사
|